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범용기] (102) 조선신학원 발족 – 김대현 장로님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7-07-31 11:45
조회
763

[범용기] (102) 조선신학원 발족 – 김대현 장로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나는 청년 때 승동교회에서 예수를 믿었고 거기 나갔고 그 교회 김영구 목사님에게서 세례를 받았다. 그러니까 ‘승동’이 내 모교회다. 김대현 장로님은 승동교회 시무장로로서 우리 또래 학생반 주일학교를 가르치셨다. 노인이시라 세대차는 어쩔 수 없었지만 시골 어른의 중후한 풍모는 인상적이었다. 경북 영일 출신으로서 자수성가하여 거부가 된 일도 있었지만 파산도 몇 번 겪었단다.

폐광된 금광을 염가로 얻어, 엉뚱하게 새 금맥을 발견, 당장에 또 거부가 되기도 했다.

그의 둘째 자제 ‘영환’은 내 막역한 친구였기에 내가 미국 갈 때 여권 수속에 필요한 재정보증도 김장로님이 서 주셨다. 물론 서류상 ‘형식’이었지만 그래도 일단 유사시에는 재정적으로 책임추궁이 따르는 것이어서 ‘결단’을 요하는 일이었다.

나는 미국 유학에서 돌아오는 길에 종묘 담장 옆에 있는 장로님댁부터 먼저 찾아 인사드렸다. 그후 나는 평양 3년, 간도 3년을 지내고 다시 그가 경영하는 사업에 봉사하려고 서울에 온 것이다. 그는 천식증이 심했다.

그는 재산을 정리했다. 아들 두 분과 맏아들, 전실소생인 맡손자, 그리고 사모님과 장로님 자신, 이렇게 다섯으로 나누어 자기 몫은 몽땅 신학교 기금으로 헌금하신 것이다. 그것이 그때 돈 50만원 그 당시 미화시세로 25만불이었다. 그러나 부동산이 대부분이어서 당장 필요한 10만원을 내놓으셨다. 그것이 우리 조선신학원 경상비가 되는 것이다. 맡아드님 ‘영철’ 장로가 재단 회계이셨다.

조선신학교 설립운동이 태동할 무렵 한국교회 여론은 둘로 갈라져 있었다. 말하자면 선교사파(필자가 편의상 붙인 이름)와 조선교회파랄까.

전자는 선교사들이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신학교를 폐문하고 돌아갔으니 우리도 그 뒤를 따르자는 주장이었다. 평양신학교 재개 또는 서울에서의 새 신학교 설립 등등은 모두 선교사에 대한 배신행위요 우상숭배에 굴종하는 ‘배교’행위라는 것이었다. 유명한 부흥사 김익두 목사가 그 선봉이었다고 들었다.

조선교파?(이것도 필자가 붙인 가칭)란 것은 선교사 시대는 지났고 잘되든 못되든 조선교회는 조선사람 손으로 운영 추진 건설해야 한다는 분들이다. 물론 후자가 절대다수였다.

그러나 그 지도 이념에 있어서는 반드시 일치된 것이 아니었다. 말하자면 답습하자는 대다수 서북교회 지도자들과 이남의 동조자들 그리고 다른 하나로는 이 시기에 일약 세계교회의 신학적 방향과 수준에로 도약하자는 서울 이남의 신진 ‘엘리트’ 그룹이었다. 그런 지도 이념 차이는 ‘조선교회파’ 자체 안에서도 현저히 구분되는 것이었다.

내가 김대현 장로님을 산장에 예방했을 때 장로는 꽤 많은 서한을 내놓으시며 답장해 달라고 하셨다.

그것은 거의 전부가 김장로님의 새 신학교 설립을 공격하는 편지들이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교사에 대한 배신이며 조선교회의 순수한 신앙을 파괴하는 행위라는 공박이었다.

나는 한참 멍하니 앉아 있었다. 그러다가 “무어라고 회답하랍니까?”하고 물었다. 그는 묵묵히 계시다가 전도서 3:1 이하의 구절을 펴셨다. “천하 만사가 기한이 있고 때가 있다”, “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다. 심을 때가 있고 뽑을 때가 있다. 지킬 때가 있고 버릴 때가 있다.”

그는 내게 재미있는 암시를 주신다고 느꼈다. 선교사 때와 지금의 때가 같지 않으니 때를 따라 헐기도 하고 새로 세우기도 해야 하나님의 새 경륜이 이루워질 것이 아니냐? 평양신학교를 헐어야 하겠고 조선신학교는 세워야 한다는 ‘때’의 요청에 내가 응답한 것 뿐이다. … 이런 의미가 그분의 의도인 것으로 짐작되었다. 나는 “알겠습니다”하고 편지 회답들을 대필했다.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8650
장공2019.02.1408650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9137
장공2018.10.2909137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8722
장공2018.10.0108722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9326
장공2018.04.1609326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9757
장공2017.10.1009757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9652
장공2017.08.0209652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10951
changgong2017.06.26010951
109
[범용기] (109) 조선신학원 발족 – 설립자의 고충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927
장공2017.07.310927
108
[범용기] (108) 조선신학원 발족 – 진영과 학생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893
장공2017.07.310893
107
[범용기] (107) 조선신학원 발족 – 개원식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881
장공2017.07.310881
106
[범용기] (106) 조선신학원 발족 – 조선신학원 발족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783
장공2017.07.310783
105
[범용기] (105) 조선신학원 발족 – 아버님 별세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805
장공2017.07.310805
104
[범용기] (104) 조선신학원 발족 – 조선신학원 인가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763
장공2017.07.310763
103
[범용기] (103) 조선신학원 발족 – 신학교 설립사무부터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942
장공2017.07.310942
102
[범용기] (102) 조선신학원 발족 – 김대현 장로님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763
장공2017.07.310763
101
[범용기] (101) 간도 3년 – ‘만우’의 옥고 – 후일담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652
장공2017.07.310652
100
[범용기] (100) 간도 3년 – 식구들은 다시 ‘창꼴집’으로
장공 | 2017.07.31 | 추천 0 | 조회 640
장공2017.07.310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