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범용기 제6권] (1617) 최근 30년 한국역사의 회고와 전망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8-11-09 09:08
조회
1294

[범용기 제6권] (1617) 최근 30년 한국역사의 회고와 전망

“최근 30년 한국 역사의 회고와 전망”이라면, 결국 해방 후 한국의 움직임을 훑어보고 정시하면서 다음의 한국을 바라보자는 뜻이 되겠습니다.

우선 이 배경으로서 이조말 개화운동 때부터 일제 36년간의 Dark Background를 잠깐 들여다 보고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 중에서 한 가지만을 추린다면 1919년 3ㆍ1의 기미 독립선언과 그 후의 운동일 것입니다. 3ㆍ1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빠리 강화회의에서 민족자결에 의한 국가군(群) 재건 또는 재조정을 주장한 것을 계기로 하여 일어난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보복(報復) 전쟁의 악순환을 정지 또는 제거시킴으로써 영구평화를 모색한다는 주장이었습니다. 독일의 자멸을 노린 포위작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한국 민족에게 전해진 가장 기쁜 소식이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신천지의 여명”을 보았고 그것과의 관계에서 한국민족의 해방과 독립, 그리고 세계 역사의 전환, 새로운 인간상의 정립 등등을 예견했던 것입니다.

이 3ㆍ1 독립선언은 “한국은 독립국이요, 한국인은 자유민이다”하는 것을 골자로 한 것이었습니다. 전 민족이 이에 향응하여 전국적으로 궐기했습니다. 참가자가 1,363,900여명, 학살 당한 자가 6,670명, 투옥된 자가 52,700여명이었다고 하니, 이만하면 이 운동이 전국적 거사였고 민족정기의 폭발이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이 3ㆍ1 “정신”을 선언서에 나타난 대로 요약한다면 - (1) 그 정신적 근거로 “인류평등의 대의(大義), 민족자존의 정권(正權), 이천만 민중의 충성, 인간 자유발전의 정로(正路), 인류양심의 발로, 세계개조의 기회” 등등 – 어디까지나 세계적, 인류적, 윤리적인 큰 테두리 안에서 한국과 한국민족의 소재를 규정지으려 했다는 점입니다. (2) 전체로서의 인류 역사에 근본적인 전향점이 나타난다는 예언입니다. 침략주의, 강권주의의 시대는 가고 도의와 인도(人道)의 시대가 온다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National Interest와 Power Politice의 시대는 가고 National Justice, Human Rights의 시대가 온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그 당시에 당장 성취된 것은 아니었고 지금에도 성취된 것이 아닙니다만, 반드시 성취되고야 말 새 역사의 방향제시였던 것만은 사실이겠습니다.

(3) 적에 대한 용서와 화해의 제언입니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가지가지 배신과 불의와 악행을 열거하면서도 그에 대한 보복이 아니라, 그와의 화해와 평화건설을 종용한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동양 3국이 각기 자주 독립하면서 상부상조하여 동양평화와 세계 질서에 이바지하자는 것입니다. 이것은 폭력의 악순환에서 세계 평화를 기대할 수 없다는 결론에서였다고 봅니다. (4) 그러니까 새로운 국가관이 제시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Power Struggle과 무력경쟁의 전투 주체로서의 권력국가가 아니라, 정의와 봉사로 다 같이 평화롭게, 바르게, 자유롭게 잘 살기 위한 국가 존립이라는 것입니다. (5)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투쟁방법은 물리적인 “힘”보다는 비폭력ㆍ불타협의 진리운동에 뿌리박은 행동이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6년 후에 인도의 깐디가 취한 항거방법의 선배였습니다.

지금이라도 세계 역사를 맹수형, 독사형, 또는 광견형 등의 집권자상으로부터 “인간형”의 봉사자 손에 돌아오게 하려면 이 독립선언서에 나타난 3ㆍ1 정신을 사회와 역사에 구상화해야 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런데 이 선언서에서 민족대표로 서명한 33인 중에서 “최후의 일각, 최후의 일인”까지 밀고 나가겠다던 약속을 일편단심, 엄수한 분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은 후세에 유감을 남겼다 하겠습니다.

이것은 “신라”의 “연당멸고”(聠唐滅高) 이래의 민족정기 위축과 강국에 대한 Soft Policy가 민족심리의 심층권을 구성한 탓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물론 소수의 예외는 언제나 있었고 언제든지 있을 것입니다만, 민족전체로서의 기질은 그 씩씩하던 기백을 잃었다 하겠습니다.

일제 36년간의 독립운동에 있어서도 해외에서 활동하던 분들은 몰라도, 국내에서도 이렇다 할 항거세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적응하면서 항거한다는 양면정책이 일반화했다고 하겠습니다. 일반 서민층에서까지도 일본 사람을 “일본인”이라고 부르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일본놈”, “일본녀석”, “왜놈”, “왜놈의 새끼” 등등으로 부릅니다. 물론 면대하여 그러는 것은 아닙니다만, 뒤에서는 모두가 그렇습니다. 그것은 아마도 심층에 가라앉은 억년 묵은 항거의식의 변형이 아니었을까 생각됩니다. 당당하게 일대일로 결투하지 못하는, 그러면서도 항거는 계속하는 이런 현상은 사내다운 민족상이 아니기에 용서는 할 수 있어도 자랑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개별적인 사건과 개별적인 인간에 따라 “적응과 항거”의 Ballance가 혹은 이쪽에, 혹은 저쪽에 기울어진 예는 있었습니다만, 어느 한 쪽만의 한국인은 거의 없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그런데 1945년 8ㆍ15에 갑자기 “한국해방”의 공고가 나 붙었습니다. 일본 “천황”이 8.14에 떨리는 목소리로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습니다.

한국은 일본 영토에서 분리되어 독립하도록 1943. 12. 1일에 카이로에 모인 3대국(미, 영, 중) 회의에서 결정되고 1945. 7. 26일에 영, 미, 중, 소 4대국의 Posttham 외담에서 재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동안 국내에 있는 우리는 하나도 모르고 있었습니다. “언제 되든 독립이 되면…” 이런 나라를 만든다는 치밀한 건국설계가 준비돼 있었던 것도 아닙니다.

민주주의 국가로 한다는 것은 거의 불문율로 전송되었습니다만, 상당히 낭만적이었습니다만, 상당히 낭만적이었습니다. 예외가 있다면 조선역사 학자들의 “진단학회”와 조선어학회의 한글정리와 한글사전 편찬이라 하겠습니다. 그들은 일제 말기에, 검거, 고문, 투옥 등등으로 고난을 겪었습니다.

한국 “교회”는 “정교분리”란 이름 아래서 급속하게 교인수와 교회수를 증가시켰습니다만 신사참배 강요에 부딪쳐 내부 분열이 시작되었습니다. 한국 기독교의 일본 호국종교화 운동이 일본정부와 조선총독부의 합작에 의하여 강력 추진되었습니다. 그러나 극소수의 “혁신교단” 가입자 이외에는 별 진전이 없었습니다.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한국 교회 대다수의 태도는 역시 “적응하면서 항거한다”는 작전이었습니다. 주기철 등 절대반대파도 있어서 수년동안 옥중에 있기도 했고, 후일에 “재건파”라는 이름으로 불리운 신사참배 절대불응 집단도 있었습니다. 그들도 물론 옥중에 있었습니다만, 해방후에 풀려나와 기성교회를 전적으로 부정하고 “옥중성자”끼리서만 새 교회를 세웠습니다. 이름은 “재건파” 교회라고 했습니다. 기성교회는 우상에게 절한 “교회”니 만큼 “우상”의 교회라는 것이었습니다. 이들은 간단합니다. 신사참배 곧 우상숭배요, 신사참배자 곧 우상숭배자란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진심으로 신사에 참배한 것은 아니었고 강요 당하는 포로 생활의 일환으로서 죽지 못해 하는 일이었던 것만은 사실입니다.

“재건파”의 행동은 복음적이라기 보다는 율법적이었습니다. 구약의 “성결법”에 농성하여 우상숭배자와 접촉이 곧 부정타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러므로 날이 갈수록 내향적이 되고 “게토” 의식이 늘어갔습니다. 해방 직후 어린 자녀를 국민학교에 보내면 날마다 조회시간에 ‘태극기’에 경례하니 그것도 우상숭배라 하여 퇴학시킵니다. 이럭저럭 일반 사회에서 단절됩니다. 결국 혼자서 고성(孤城)을 지키다 만 것 뿐이라 하겠습니다.

어쨌든, 일제말기 한국민족의 일본민족화나 한국문화의 일본문화나 한국교회의 일본교회화 등 운동은 실패였다고 말할 수 밖에 없겠습니다.

한국 민족생활의 “일본양식”화 운동은 애당초부터 먹어들지 못했습니다. 일반서민층의 습속과 보수성은 거의 절대적이어서 일본식 생활 따위는 염두에도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한국민족 사회의 최후, 최대의 저변을 이룬 그들이 사실은 일본화 항거에 있어서도 최후 최대의 항거자였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1945년 8.15에 해방은 되었습니다만, 38선이 생긴 줄은 몰랐습니다. 4대국이 울타리가 되어 “삼천리 금수강산”이 통일민족국가로 회복되는 줄만 알았습니다. 그런데 서울에서 평양간 기차는 “함흥차사”여서 가긴 가도 오지는 못합니다. 얼마 후에도 이북 피난민이 백만 단위로 남한에 넘어옵니다. 러샤 군대의 등살에 견딜 수 없어 덮어 놓고 남한에 왔다는 것이었습니다. 북한에는 자유가 없는데 남한에는 자유가 있다 하여 왔노라 합니다.

그런데 해방과 함께 남한에는 미군정이 선포되고 하지 중장이 총독의 자리에 앉았습니다. 남한 공산당도 합법화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남한 공산화의 길을 그들에게 제공한 것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승만 박사는 남한만의 단독정부를 수립하고 공산당 불법화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얼마 후에 “김구” 주석을 비롯한, 상해임시정부 요인들이 귀국했습니다. 김구 주석은 이승만 박사의 남한 단독정부수립을 반대하고 선우진 등과 함께 이북을 방문했습니다. 통일한국회복운동의 일환에서였습니다. 이승만 박사는 코웃음으로 대신합니다.

“공산당과 협상한다는 것은 공산당의 정체를 모르는” 환각자의 꿈이라고 일축합니다. 그래서 한 번 면담해 본다고 그들은 입북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별 성과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남로당에 의한 공산화 운동은 치열했습니다. 각처에서 반란 사건이 속출합니다. 결국 미군정에서도 공산당 비법화를 구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때부터 “민주”와 “공산”의 두 갈래가 첨예화해서 서로 극한 투쟁을 벌이게 되었습니다. 학원에서는 학생들이 두 갈래로 나뉘어 실력으로 대결합니다. 청년 사회에서도 그렇습니다. 그 밀도는 학생사회에서보다 희박했습니다만 근본양상은 같았습니다.

학원에서의 진지한 민주학생이란 주로 기독학생 그룹이었습니다. 그런데 좌익 학생들은 유물론적 역사관을 풀이하여 학우들을 자신있게 설득합니다. 그러나 기독 학생들은 그렇게 명백한 역사 이해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때까지의 한국교회는 역사에서 유린된 교회주의적 기독교였기에 “세상일”인 역사에는 관심도 이해도 뚜렷하지 못했던 것입니다. 기독학생들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때마침 미국선교본부에서 최신 문제작인 유명저서 2백여권을 한국신학대학으로 보내왔습니다. 그 가운데는 토인비의 “역사연구”도 들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역사 이해에 대한 다른 명저들, 문명비판, 공산주의 비판 등등도 있었습니다. 나는 그것을 목마른 사슴이 시냇물 마시듯 탐독했스니다. 그리고 기독학생 모임에서 그 내용을 해설해 주었습니다.

학생들은 기뻤습니다. “이제는 우리도 할 말이 있다”, “맑스의 유물사관은 낡아빠진 일방적인 이론에 불과하다”하고 좌익 학생들을 공격합니다.

그때부터 좌익 학생들은 이론보다도 폭행을 택했던 것 같습니다. 사범대학에서는 좌익 학생들이 학장을 살해했습니다. 걸핏하면 “죽인다”고 “쁠랙 메일”을 보냅니다. “하지” 중장의 공산당 불법화를 그들 편에서 촉진시킨 셈이 되었습니다.

모스크바 3상회담, 신탁통치안, 미소공동위원회 등등에서부터 소위 “좌우합작” 운동까지 모색되었던 것은 기억에 생생한 한국해방사의 격랑이었습니다.

대구 반란사건, 여수 순천 반란사건 등등은 대규모적인 좌익폭동이었습니다만 결국은 진압되었고 성공했달 수는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6.25가 터졌습니다. 남로당 계열은 일지감치 이북으로 가 버렸습니다. 그래서 민족의 좌우 진영이 전면 分立(분립)됨으로 일단 사상정리가 된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분단 한국의 이념적 고정과 지역적 분립이 현실화된 후에도 38선의 비극은 6.25의 비극을 연장심화한 것 같이 되었고 민족의 ‘숙원’인 통일은 항구한 ‘숙제’로 남아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38선은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대립선”이어서 한국민족의 국가건설에 이 두 이념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이고 건설적이냐 하는 것을 실험하는 Test Tube이라고 주관적으로 설명해 보기도 합니다. 또는 이 두 이념과 체제의 대립에서 제3의 더 좋은 종합이념이 변증법적으로 탄생할 섭리적인 의미도 있지 않을까 하는 Wishful thinking도 해 봅시다. 어쨌든, 38선은 우리 국토와 민족에게 “있어서는 안될”, 그러면서도 “강요된” 우리 역사의 비극임에 틀림 없습니다. 결국은 없어지고야 말 것입니다.

38선이 통일한국에의 단계적인 과도현상이라면 그 존재에의 바른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청됩니다. 우선 위에서 잠깐 언급한 바와 같이 正ㆍ反ㆍ合의 변증법적으로 본다면, 이북의 공산독재와 이남의 자유민주라는 ‘테제’와 ‘안티테제’가 분명해야 하겠습니다. 그래야 남북대화를 위한 두 주체가 또렷하게 또 정직하게 각기 자기를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북의 “공산독재”, 이남의 “일인독재”란 것은 둘 다 “독재”여서 “독재자”가 걷는 같은 노정을 같은 양식으로 걷지 않을 수 없게 됩니다. 이북에서 정보국가를 세우느냐? 우리도 정보부를 강화해야 하겠다. 이북에서 언론을 탄압하느냐? 우리도 “중구난방”이어서는 안되겠다 등등.

이런 방향은 이론 대결이 아닙니다. 설과 폭력의 일방동행으로 전락합니다.

자유민주주의와 공산독재가 회담을 시작한다면, 어느 편에서나 일방통행은 염두에 두지 말아야 합니다. 대립 “위”에 있어야 할 제3의 종합을 주제로 그 하나된 민족 국가로서의 형태와 Vision을 성의껏 토의해야 할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 제1차적인 충성을 통일된 “한 나라”로서의 한국 또는 조선-(고려라 해도 무방하겠습니다만)을 놓고 그 나라격(Nationship)과 가능한 실현방법을 검토 모색해야 할 것이란 말입니다. 여기서 물론, 같은 민족으로서, 조상과 가족이 혈연적으로 엉키어 있다는 인간감정도 상당한 “저변”을 이루리라고 믿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념과 사상과 제도를 초월하여 단일민족으로 우선 통일부터 해놓고 보자”는 7ㆍ4공동성명은 너무 조급한 생각일 것 같습니다. 통일 후의 혼란이 통일 전의 혼란 이상으로 심화하고 장기화할 것을 예견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위에서 통일문제에 대한 우리 자신들의 소원의 일부를 피력한 것 뿐입니다. 그 실현성은 여전히 희박합니다.

원래, 통일문제는 강대국간의 대립되는 국가이익 때문에 생긴 것이니만큼 그 해결에 있어서도 국제정치 분야에 이관된 감이 없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본인은 이 정도의 경험담으로 끝내고 여러 학자님들의 활발한 연구와 토의를 기대합니다.

다음으로 간과할 수 없는 사변은 군사독재정권 수립입니다.

배고픈 사람이 밥 먹을 생각만 하듯이 한국 사람은 눌려 살던 과거를 권력욕으로 배불리려 하는 것 같습니다.

민주국가인 미국에서 평생을 지내다시피 한 이승만 초대 대통령도 민주로 시작하여 독재로 변모하려다 실패되어 “하야”했고, 장면 정권은 너무 단기집권이어서 평을 삼가야 할 것 같고, 다음으로 박정희 소장의 군사 쿠데타로 다시 독재체제가 뿌리를 내리게 됐습니다. 그러나 국민은 그렇지 않습니다. 민주체제를 갈망하고 있습니다. 젊은 지성인들을 대표한달 수 있는 학생들도 마찬가집니다. 그러므로 “독재”는 전 국민을 “적”으로 생각하고 국민 상대로 “전쟁”을 계속할 밖에 없는 것입니다.

1961년 5월 16일 새벽에 박정희 소장, 장도영 중장 등이 약 3천명의 사병을 인솔하고 한강을 건너 총칼로 모든 정부기관을 점령했습니다. 그리고 민주기구(機構)는 전폐되고 십여명 군인이 모든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국민의 반대여론의 너무 압도적임을 두려워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박정희는 2년만에 군정을 민정으로, 다시 “유신”으로 탈바꿈했습니다. 그러나 그 행진 목표는 일인 독재체제확립에 두었습니다. 그는 전쟁중의 군인 윤리를 그대로 국민에게 적용하는 것 같았습니다. 국민 상대로 싸우는 것입니다. 소문에 의하면 “박”은 “작전”에 능하다고 합니다. 그는 KCIA를 비롯하여 모든 “국가 사찰력”을 한 손에 쥐고 그것을 반 “박정희편” 국민사찰에 사용합니다. “반공”이 “국시”니까 반공법이 모든 법의 “왕초”가 되었습니다. 반공법이란,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어서 변화무쌍한 “여의주”(如意珠)라 하겠습니다. 반독재, 반박정권이 그대로 친공, 반정부, 반국가로 비약합니다.

일본 군인이 “기아이”(氣合)이란 것을 부하훈련의 기본방법으로 실시해왔는데, 박정희는 그 후예였기에 피의자를 잡으면 우선 고문부터 시작하여 넋을 잃게 한답니다.

공포 분위기가 시민사회를 덮습니다. 그 이유로는 “이북이 또 남침한다”, “경제가 성장해야 하겠다”, “국토를 건설해야 한다”, “그것을 유효하게 진행시키려면 군대식으로 한 사람의 총사령관 밑에서 모든 국민이 무조건 복종해야 한다”, “불복하면 ‘하극상’으로 처벌된다”, “그런데 총사령관은 물론 나 한사람이다” 하는 식입니다. 그래서 “굴종”합니다. 그러나 “충성”은 없습니다.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포로생활”입니다.

“일인독재”는 모든 독재 중에서 제일 나쁘고 위험한 독재입니다. 한 사람의 “인간악”에 3권이 전적으로 장악될 때, 그 3권이 전적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그만큼 증대되기 때문입니다. 3선개헌 긴급조치, CIA의 고문, 군사재판, 언론부재 등등에서 여실하게 나타납니다. “3선개헌”은 일인독재를 위한 첫 포석이었습니다.

이런 강권주의 독재 하에서 1972년 부활절 날 이른 아침, 서울 남산공원 광장 부활절새벽예배 모임에서 참가자 6만명에게 “민주주의는 부활했다”하는 ‘전단’이 산포되었습니다. 이것은 제3 Epoc이 탄생했다는 Anounciation이었습니다.

그 때부터 자유민주주의 부활운동이 본격화했습니다. 개신교에서 박형규, 권호경 등 목사와 그와 관련된 기독 학생들, 도시산업 전도사와 그 관계 그룹들, 빈민지대에서 빈민을 봉사하던 임경락 복사와 신학생들 등등이 주동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기독교신앙의 증언이요, 기독교신학에서의 교회와 사회 이론의 실천이었고 세속적인 정치운동은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집권당국에서는 그들을 반정부, 반국가 반란행위로 몰아 투옥했습니다. 1974년부터는 Catholic 교회에서도 적극적으로 공동전선에 가담했습니다. 카톨릭 교회에서는 훨씬 전부터 독자적으로 농촌운동, 인천근해, 도서 어민들 상대의 산업선교, “메리놀” 파에서의 Bus 노무 소녀들 계몽운동 등등에 성심 봉사해 왔었습니다. 신부님들의 헌신적인 실천종교 행동이었습니다. 강원교구의 지학순 주교, 김지하 시인 등이 그 뚜렷한 존재로 Close up되었습니다.

전체주의적 독재자 Mentality로 응고된 박정권은 학원자유, 언론자유, 신앙양심의 자유, 사회봉사의 자유 등등에 스스로의 의구심을 일으켜 자신의 Mightmare에 광태를 부리기 시작했습니다. 점차 “독사형”에서 “광경형”으로 접근하는 것 같이 보였습니다. 그러나 “심판”은 하나님이 하십니다. 우리는 증언자에 불과합니다. 그 심판의 날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임할 것은 우리도 모릅니다. 그러나 예수의 말씀대로 “때”는 “가까왔다”는 제 육감이 짙어갑니다.

우리는 일제 강점기 때의 잘못을 또 다시 반복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3ㆍ1독립운동의 좌절과 함께 그 운동자까지 좌절되었던 유감을 반복해서는 안되겠습니다.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지 말아라. 때가 이르면 거두리라”한 바울의 말씀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농부가 이른 비와 늦은 비가 땅에 내리기까지 참음으로 땅의 귀중한 소출을 기다림같이 여러분도 참음으로 마음을 굳게 하시오” 한 야고보의 말씀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야고보 5:7-8).

신랑이 더디 온다고 촛불을 끄고 각기 자리에 누워 자는 게으른 열처녀처럼 되어서는 안되겠습니다. 우리는 독립이 안된다고 단념 또는 좌절되어 아무 계획도 없이 지내다가 갑자기 해방의 소식에 놀라 허둥지둥하던 첫 8.15 때의 부끄러움을 반복하지 말아야 하겠다는 말입니다.

Post-Park 민주 한국에서의 정치 실제, 경제 재건, 특히 외자정리와 자립경제의 실현, “군”과의 관계, 사회생활의 양식(Style), 생활의 간소화, 교육, 문화의 세계적이면서 한국적인 구상과 장려, 교회의 사회화와 국민의 민주화 훈련 문제, 학생과 교수, 학생과 사회, 남녀관계, 성문제 등등에 있어서 멋지게 날마다 더 새로움을 보여줘야 하겠습니다. 요컨대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되어 있어야 하겠다는 말입니다. 무준비의 공백을 품은 채 행운만 기다리는 경향이 정리되어야 하겠습니다. 우리는 재미 학자회 여러분에게 특히 이것을 기대하고 싶습니다.

1975년 5월
Boston 재미기독학자회에서 Keynote Speech

年譜抄

1945년 9월. 조선총동북 제1회의실에서 항복문서 조인
8월 16일. 해방소식 전달
해방군을 맞이하는 군중이 남대문역에 운집

1946년 1월. 모스크바 3상회의
3월 20일. 한국통일독립문제협의를 주제로 미ㆍ소 공동위원회가 덕수궁 석조전에서 모임
4월 21일. 이승만이 장개석 전용기로 국민외교 마치고 귀국

1947년 5월 21일. 일시 중단되었던 미ㆍ소공위 재개

1948년 UN한국위 공개회의

1948년 3월 8일. 김구 등 남북협상 제의
4월 19일. 김구 향북 선우진, 김신 등 수행
5월 20일. 제헌국회 개원식
7월 24일. 이승만 대통령 취임, 하지, 맥아더 등 참석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2월 17일. ECA 사절단 내한
7월. 미군철수 제1인 인천 이륙

1949년 3월 31일. 미군철수 반대데모
7월 5일. 김구 장례식

1950년. 6월 17일. 떨레스 38선 시찰
6월 25일. 이북군 38선 돌파 남하
6월 28일. 이북군 전차대 서울진입
9월 28일. 미군 인천 상륙
11월. 국군 평양 입성

1952년 12. 아인젠하우어 한국전선 시찰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휴전조약, 휴전 반대데모

1953년 8월 8일. 한미방위 조약체결

1956년 5월 23일. 신익희 장례식
8월 15일. 이승만 제3대 대통령 취임

1957년 9월 18일. 월남대통령 고딘 디엠 한국방문
1월 30일. 평화선 침범 일본어부 납치와 송환

1959년 1월. 재일교포 북송 반대데모
7월 27일. 야당의원들의 국민주권 옹호 위원회 구성, 4사5입 소동

1960년 4월 11일. 김주열 시체 발견, 국민분노, 학생 선도(先導), 마산과 각지방에 퍼짐
4월 18일. 고대를 비롯하여 서울 각대학 데모, 정부 폭력단과 충돌
4월 25일. 교수단 데모
4월 26일. 경찰의 무차별 발포, 미 대사 이승만 하야 권고, 이승만 하야 성명, 이기붕 일가 자멸.
5월 29일. 허정 비밀리에 이승만을 하와이에 도피시킴, 아이젠하우어 다시 내한.
1960년 8월 15일. 제2공화국 민주당정권 수립

1961년 1월. 3부요인 경무대에서 회동.
5월 16일. 장도영 중장, 박정희 소장 등의 군사 쿠데타 성공
5월 18일. 육사생 쿠데타 정부지지 행진, 장도영 총리 하야성명
5월 21일. 윤보선 대통령 유임 요청(군정에서)
5월 20일. 국가재건 최고회의 각원 취임선서
6월. 국민재건운동본부 신설
7월 21일. 송요찬 내각수반 기자회견.
7월 29일. 혁명재판소 개소식
8월 12일. 63년에 군정 종식, 민정복귀 약속
8월 17일. 정치깡패 두목 이정재에 대한 사형언도 공판
11월 5일. 소련 핵 실험 반대 우산반대
11월 11일. “박” 미국 방문, 일본 들러 池田 수상, 岸전 수상 등과 요담

1962년 2월 24일. 울산공업 기공
6월 10일. 화폐개혁
8월 28일. 민족일보의 조용수 사장 등 4명 검거 사형, 장면 二主당 반혁명 은모사건으로 피검, 장도영 반혁명 혐의로 구속
12월 11일. 김종필, 태평 회담, 윤보선 대통령 사임성명.
12월 11일. 일본 자민당 부총재 등 40명 한국 방문, 김종필 태평 회담, 윤보선 대통령 사임.
7월. 이주당 사건 공판

1963년 1월 3일. 단일야당 창립준비를 위한 구정치인 지도자 회담
1월 18일. 김종필 공화당 창당이념 천명.
2월 30일. 박, 윤, 허 3자회담, 진전 없었음
3월 16일. 2. 27성명 번의, 4년간 군정연장 반대 데모, 각처에서 군정연장 반대 데모
3월 22일. 민정당에서 군정연장 반대 구국선언 대회 데모
6월 3일. 4대 의혹사건의 하나인 증권파동 동판.
8월 10일. 전 걸설부장관 박림항 중장 반혁명 사건으로 공판.
8월 30일. 제5군단에서 17년 군사생활 마치는 예편식 거행(박정희 퇴역)
9월 3일. 자민당산파역 김재춘 자의반 타의반 외유
8월. 한ㆍ일국교 정상화 반대운동 치열
9월 19일. 전 최고회의 외무 국방위원장 김도화 소장과 박창암 대령이 반혁명 사건으로 재판 회부
3월 20일. 윤보선 전 대통령 미 대사관 앞에서 군정연장 반대 데모
월남전에 비둘기 부대 파병, “박” 서독 방문.
12월 17일. 10ㆍ15 선거에서 당선된 박정희 대통령 취임식, 제6대 국회 개원식 선서, 김종필 제2차 자의반 타의반 외유.

1964년 4월 18일. 학원사찰 반대 데모, 굴욕 외교 반대 데모
6월 3일. 계엄령 선포, 각 대학 계엄군 점령, 신문 사전 검열
9월 12일. 언론 윤리법 선포, 자율규제 시도로 신문 윤리위 구성, 전국 언론인 궐기, 언론규제 철폐 요구.

1965년 3월 21일. 한ㆍ일회담 반대 데모
3월 27일. 야당 데모
5월 16일. “박” 미국 방문

1969년 8월 3일. 3선개헌 반대 범 국민투쟁위 구성, 선거 종료 후 해산.

1970년대의 연보는 생략.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8481
장공2019.02.1408481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8968
장공2018.10.2908968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8396
장공2018.10.0108396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9154
장공2018.04.1609154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9581
장공2017.10.1009581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9340
장공2017.08.0209340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10770
changgong2017.06.26010770
899
[범용기 제6권] (1618) Vision을 보는 세대
장공 | 2018.11.09 | 추천 0 | 조회 985
장공2018.11.090985
898
[범용기 제6권] (1617) 최근 30년 한국역사의 회고와 전망
장공 | 2018.11.09 | 추천 0 | 조회 1294
장공2018.11.0901294
897
[범용기 제6권] (1616) 인간아 네가 어디 있느냐?
장공 | 2018.11.08 | 추천 0 | 조회 1036
장공2018.11.0801036
896
[범용기 제6권] (1615) 3ㆍ1 정신과 한국역사의 현단계
장공 | 2018.11.08 | 추천 0 | 조회 1090
장공2018.11.0801090
895
[범용기 제6권] (1614) 생활한다는 것
장공 | 2018.11.07 | 추천 0 | 조회 1021
장공2018.11.0701021
894
[범용기 제6권] (1613) 민족의 파수꾼
장공 | 2018.11.07 | 추천 0 | 조회 1043
장공2018.11.0701043
893
[범용기 제6권] (1612) 한국 크리스찬의 Nation-Building
장공 | 2018.11.06 | 추천 0 | 조회 1035
장공2018.11.0601035
892
[범용기 제6권] (1611) “義”를 심어 다시 산다
장공 | 2018.11.06 | 추천 0 | 조회 1103
장공2018.11.0601103
891
[범용기 제6권] (1610) 적그리스도의 성격과 그의 세계
장공 | 2018.11.01 | 추천 0 | 조회 1137
장공2018.11.0101137
890
[범용기 제6권] (1609) 돌들이 외친다
장공 | 2018.11.01 | 추천 0 | 조회 1328
장공2018.11.0101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