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0531] 4ㆍ19의 회고(回顧)와 전망(展望) - 1962년

장공전집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8-04-19 01:35
조회
909

4ㆍ19의 회고(回顧)와 전망(展望)

「基督敎思想」
1962년 4월

나는 4.19 당시에도 글, 방송, 강연 등으로 나의 느낀 바와 생각하는 바를 발표하였고, 4.19 1주년 되는 때에도 1961년 4월호 「기독교사상」에 글로 써 보낸 일이 있다. 그러므로 또 다시 같은 과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것은 그리 흥겨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편집자의 간곡한 청탁을 물리치는 것도 예가 아닐 것이고 4.19 학생 운동 자체에 대하여도 다시 경의를 표하는 의미에서 몇자 써 보내기로 한다.

나는 故(고) 趙炳玉(조병옥) 박사 장례식 때에 「장례위원」의 한 사람으로 지명되어 있었기 때문에 장례식 날 예식에라도 참예하려고 시간 십분 전에 서울운동장 앞에 당도했다. 그러나 그 앞이 글자 그대로 人山人海(인산인해)여서 교통정리에 분주한 기마순경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그 인간장벽을 뚫어낼 재주가 없었다. 운동장 문은 벌써 닫혔고 오도 가도 못할 형편이었다. 마침 어떤 유력한 친구 한 분을 만나 그의 찝차에 편승하여 교통차단된 거리를 영구가 통과할 예정 「코오스」대로 천천히 「시찰」할 수 있었다. 沿度(연도)는 좌우로 겹겹이 「사람 성벽」을 이루어 움직이지 않는다. 나는 이렇게 많은 시민이 그렇게 정중하게 서 있는 광경을 처음 보았다. 나는 그들의 표정을 유심히 살피며 천천히 차를 몰았다. 그 「의분」이 팽창한 낯, 낯, 낯 – 그 엄숙한 결의에 삼엄해진 얼굴들, 이 시민들의 심장은 결코 더 오래 눌러 있을 수 없으리라 느꼈다. 그 가슴들은 누가 불던져 주기를 고대하며 폭발점에서 팽팽해지고 있음을 보았다.

그 후 자유당 정부는 스스로의 열등감 때문에 이런 민심에 대한 공포심만이 조장되었다. 그리하여 정부는 선거에 있어서 민의와 대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수단을 가리지 않는 「전쟁」을 택하였다. 어쨌든 백성과 싸워 이겨놓고 본다는 의미에서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인 「보통선거권」까지도 짓밟고 들어갔다. 그리하여 정부는 불의로 승전했다.

권력도 승산도 없는 민중이었지만 마산을 위시하여 여러 고장에서 「항거」의 운동이 일어났다. 그 선봉은 학생, 특히 중ㆍ고등학생들이었다. 「부정선거를 무효로 돌리고 다시 정당한 선거를 실시하라」는 것이 그들의 요구였다. 그것만 허용된다면 구태여 「현정부」를 전복시켜야 한다는 것을 고집할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정부는 이들에게 총질하였을 뿐 아니라, 순진한 소년을 살해하여 시체를 물 속에 유기하는 만행까지 저질렀다.

기성세대의 분노도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들은 횃불 들고 앞장 서기에는 너무 신중하였다. 벙어리 냉가슴식의 울적이 맘속에 불끈거릴 뿐이었다. 학생층에 대한 기대도 그리 대단칠 않았다. 그들도 이 통틀어 부패한 통조림 속에서 함께 썩고 있는 희생자라고 대체로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0년 4월 18일 홀연 高大(고대)생 3천여명이 그 대단한 경찰의 경계망을 뚫고 스크램을 짜고 거리를 행진했다는 뉴스가 쫙 퍼진다. 그들의 평화 「데모」가 경찰의 조종하에 있는 「깡패」들에게 짓밟혔다는 소식도 들렸다. 민심은 격동했다. 이튿날 다른 여러 대학생, 중ㆍ고등학생들이 거리를 메꿨다. 3萬(만) 시민이 이에 합세했다. 의대생들의 흰 까운부대가 피에 젖은 동료의 시체를 안고 총탄에 쓰러진 귀여운 학생들의 시체를 넘어 경무대로 2만명의 학생의 대열은 파도같이 밀린다. 그것도 총책임자인 李대통령과 담판하자는 것 이외에 다른 아무 의도도 없었다. 그러나 총탄에 쓰러지는 「피의 제물」이 더해질 뿐, 그 보루는 뚫려지질 않았다.

비상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중무장한 탱크부대까지 들어 왔다 한다. 시민들은 이 계엄사령관의 조치를 불안과 신뢰가 뒤섞인 감정으로 주목하고 있었다. 그들은 일체 집단 행동을 금지하였으나 학생과 시민에 발포하는 일까지 감행하려는 의도는 없다는 것이 언명되었다. 이 계엄령 중에도 여기 저기서 산발적인 「데모」가 있었다. 자유당 정부는 이제야 당황한 모양이었다.

4월 25일 하오 전국 27개 대학교수단 4백여명이 서울 대학교 교수회관에 모여 아래와 같은 요지의 선언문을 발표하고 계엄령 하의 삼엄한 분위기를 뚫고 시가를 행진했다. 「사랑하는 학생들의 피를 헛된 데 돌리지 말라」하는 것을 그 모임의 정신으로 한 것이다.

그 선언문의 요지는 우선, 학생 「데모」의 근본성격을 설명하여, 그것은 공산당의 조종이나 야당의 使嗾(사주)에 의한 것이 아니라, 주권을 빼앗긴 국민의 울분을 대신하여 궐기한 순정한 정의감의 발로이며 부정불의에 항거하는 민족정기의 표현임을 천명하였다. 다음으로는 이 평화적이요 합법적인 학생데모에 무자비하게 발포한 경찰은 「국립경찰」이 아니라, 권력집단의 「私兵(사병)」이라고 신랄하게 규탄했다.

그리고 몇 가지 요구건을 열거했다. ①은 대통령을 위시하여, 與野(여야) 국회의원, 대법관의 인책 퇴임, ② 3.15 선거의 무효 선언과 공명선거의 재실시, ③ 부정선거 조종주모자와 학생 살해 명령자 및 하수자의 엄벌, ④ 구금된 학생의 무조건 석방, ⑤ 공적 지위를 이용하여 부정축재한 관군민을 가차없이 적발 처단하여 국가의 기강을 세울 것, ⑥ 경찰의 중립확보, 학원의 자유보장, 학원의 정치도구화 방지, 권력에 아부한 似而非(사이비) 학자, 문화인 예술인의 배제 등이다. 그리고 학생의 자중과 지성적 판단에 호소하여 조속히 학업의 본분에 복귀하기를 권면함으로 끝맺었다.

이 교수단의 시가 행진은 비장하고 인상적이었으며 학생들의 교수단 옹호 경비는 눈물겨운 바 있었다.

이제 전 시민의 울적한 가슴에 불은 던져졌다. 그 投手(투수)는 다름 아닌 학생들이었으나 불이 불어나게 바람을 불어 넣은 것은 이 기성층을 대표하는 「교수단」의 행진이었다. 시민은 홍수같이 거리를 메꿨다. 여기 저기서 계엄중의 군대와 알력을 일으켰으나 그럴 때마다 군중은 그 수가 불어서 거리란 거리는 한 군데도 餘白(여백)을 찾아볼 수 없었다. 군인도 탱크도 군중의 바다에 빠져서 움직일 수 없어졌다. 그러나 송 사령관은 끝까지 실탄 발사를 엄금했다. 군대 입주전, 경관에 의하여 살상 입은 학생과 시민이 1,566명이라고 신문에 보도되었다. 4월 25일 밤은 깊고 공포소리 어둠을 찢고 암만 집으로 돌아가라고 외쳐도 거리는 꽉 찬 채 움직이지 않았다. 함성은 끊임없이 새벽 하늘을 뒤흔든다. 국민에게 죄지은 그들 집권자의 정신이 온전할리 없었다. 그들은 공포에 떨며 어쩔 줄을 몰랐다. 4월 26일 아침, 마침내 李(이)대통령은 下野(하야)하고 자유당 정권은 무너졌다. 학생들은 이제 없어진 「경찰」을 대신하여 질서유지에 몸을 바치고 있었다.

한국백성은 그리 악질인 것도 아니요 그리 무분별한 愚民(우민)도 아니다. 다만 바른 정치를 하는 정부를 갖지 못한 데서 언제나 비참을 짓씹고 살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 백성에게 하나님의 긍휼은 언제나 걷혀지지 않았다. 8.15, 9.28, 4.19 – 이 모든 「구원의 날」들은 어느 「인간」이 제자랑을 떳떳하게 내놓을 만치 「人間功勳(인간공훈)」의 소치라고 말할 당연한 결과가 아니었다. 그 속에는 언제나 「기적」의 요소가 풍겨있다.

이번 학생운동만 해도 그들은 보통 혁명운동에서 보는 비밀 결사, 지하 운동, 파괴, 복수 등으로 정권을 쟁취하려 한 것이 아니었다. 다만 합법적인 의사표시를 하려한 것 뿐이었다. 그들이 未來(미래) 건설의 청사진을 가지고 그 실현 과정의 한 단계로서 「데모」를 강행한 것도 아니었다. 다만 너무나 과도한 不正(부정)과 不義(불의), 그리고 亡國的(망국적)인 부패에 견딜 수 없어 「義(의)」를 외친 것 뿐이었다. 그 「義(의)」를 위한 현재의 한 순수한 외침이 메아리도 없이 사라지는 「광야의 소리」에 지나지 않았다 할지라도, 그것만으로도 의로운 거사일 것을 믿고 나선 것이었다. 말하자면, 그 결과의 여하를 막론하고 현재의 행동 자체로서 충분한 독립적 가치와 의의가 있음을 믿는 것이었다.

그러나 일은 학생들이 예기하지도 못한 거대한 결과를 가져왔다. 전 시민이 학생편이 되어 주었다는 것, 가장 공포를 가져올 수 있는 계엄사령부가 정신적으로 학생과 시민의 친구가 되어 주었다는 것, 모든 언론기관과 방송기관, 특히 기독교 방송국 등이 열렬하고 활발한 지원을 해 주었다는 것, 외국의 여론까지도 놀라운 지지와 찬사를 보내 줬다는 것, 미국 대사관에서 숨은 협력 등등이 李(이)정권으로 하여금 온전히 고립된 포위상태를 자인하게 했던 것이다. 이런 모든 것이 미리부터 교섭했거나 작전을 계획했거나 한 것이 아니었다는 것은 자타가 공인하는 사실이다. 「하나님이 어떤 악정부를 망하게 하려면 우선 그로 하여금 미치게 한다」는 모 역사가의 말과 같이 3.15 부정선거는 자유당의 열등감에서 생긴 「狂態(광태)」였던 것이다. 나는 이 사건의 배후에 보이지 않는 「심판」의 손이 움직이고 있었음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4.19의 의의는 그것이 정치운동이라기 보다도 윤리 운동, 「혁명」이라기 보다도 하나의 「의를 위한 행동」, 현실적인 효과보다도 그 항구하고 강렬한 정신성을 제공해 준 데 있다고 본다. 이런 점에 있어서, 나는 이 운동과 기미년 3.1 운동과는 그 범주를 같이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구체적인 의미에서 서로 다른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수단 선언문」에 있는 것과 같이 이것이 「정의감의 발로요 민족정기의 표현」이라는 중심점에서 3.1 운동과 유를 같이 한 것이다. 그 뿌린 「피」는 당장에 그들 자신의 열매를 거두기 위하여 한 일이 아니었다. 그것은 언젠가 반드시 싹틀 때가 있을 것을 믿고 「불의」 속에 심은 「정의」의 씨앗이었던 것이다. 그들의 외치는 소리와 함께 부패정권은 무너졌다. 그러나 그 다음에 올 정권에 그들은 손대지도 않았으며 그 새 정권이 저지른 일에 대하여 책임질 아무 이유도 없는 것이었다.

그들은 다시 학원에 돌아가 학업을 계속할 뿐이었다. 그러므로 그것은 「의거」요 「혁명」은 아니다. 말하자면 「혁명」 이상으로 고귀한 義(의)와 正氣(정기)의 선양이었다. 이에 참가한 사람들은 하나의 종교적 감격으로 몸을 「제물」로 던진 것이다.

그러나 다음 정권은 이 학생과 시민의 「피」에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야당이었던 민주당은 그 동안 줄곧 정권을 노리고 있었다. 자유당의 비리를 신랄히 지적하면서 자신들에게 정권이 주어지는 때 모든 난제를 해결하고 새 나라를 건설할 수 있다고 장담했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그들에게 그들의 「피」의 값을 맡겼다. 일반시민도 아무 인색함없이 그들에게 투표하여 민주당으로 하여금 절대다수의 의석을 가지게 했다. 그들이 한 당으로 합심하여 과감한 정책을 수행하려면 의회 정치를 그대로 두고서도 얼마든지 밀고 나갈 수 있을 뒷받침을 국민은 그들에게 허용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정권을 잡은 민주당은 이 비상시에 대처할 비상한 각호를 망각하고 전부터 금났던 그릇을 기어코 두쪼각으로 깨뜨려 버렸다. 국민도 물론 一黨(일당) 전제의 위험을 모른바 아니었다. 그러나 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는 급속하고 강력한 행동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일제히 민주당에 표를 던진 것이었다. 집권 일주년에 그들은 이렇다 할 아무 개혁의 실적을 남기지 못했을 뿐 아니라, 관군민 아울러 부패의 도는 날로 더해갔다. 무위무능하여 국가의 기본과제인 「질서유지」조차 해내지 못하여 敵探(적탐)이 횡행하고, 강력배가 거리를 활보하고 경찰은 기백을 일고, 젊은이들에게서 꿈이 사라지고 경제는 파탄의 종점을 급행하고 있었다. 한가지 「취할 것」이 있었다면 「자유」였다. 무절제한 자유 肉的(육적) 정욕을 탐하는 자유, 비건설적인 면에 더 많은 흥미를 느끼는 「남을 깎아내리는」 자유가 제법 향락되었다. 학생들의 숭고한 「피」는 탐욕자의 완용물이 되었다. 국민은 이제 「민주당」에 기대를 걸만치 「선량」할 수가 없게 되었다. 그렇다고 어느 누구를 골라 대신 세울 잉여인물도 눈에 띄지 않았다. 전도는 암담했다.

이제 한 가닥 소망붙여 볼 데가 있다면 「軍(군)」밖에 없었다. 그러나 「軍(군)」도 다같이 썩었다는 것이 그 당시의 정평이었다. 죄 지은 정부는 늘상 학생의 재궐기를 무서워하고 있었다. 그러나 4.19 일주년도 무사히 지냈다. 정부는 긴 숨을 내쉬고 겨우 안도감에 잠을 이루었다. 그러나 1961년 5월 16일 새벽, 천만 뜻밖에 배신한 부패정권에 「심판」이 「도적같이」 임했다. 軍革命(군혁명)은 물샐틈 없이 삽시간에 정권을 잡아버렸다. 이것은 명실공히 「혁명」이었다. 이 혁명정부의 公約(공약)은 실제적인 반공시책, 자유진영과의 신의와 유지견지, 부패와 구악의 일소, 건전한 국민도의 재건, 국가자주경제 재건, 통일을 위한 실력배양 등등이다. 4.19 때의 슬로간들고 서로 통하는 대답이다. 정부는 국회를 해산하고 헌법을 보류하고, 계엄령하에서 모든 비상조치권을 장악하였다. 이것은 항구한 집권을 위함이 아니라, 「응급수술」을 위한 부득이한 조처라고 했다. 집권 10개월 그 신속 과감한 행동력은 아마도 한국 유사이래 처음보는 「정부다운 정부」일 것이다고 생각한다.

4.19의 고귀한 의거가 구정권은 무너지게 했으나 「學生(학생)이라는 미완성적 위치 때문에 新政權(신정권)을 소신대로 장악 구사(驅使(구사)하지 못한 결함을 軍革命(군혁명)에서 맡아 실시한 셈이다. 학생의거와 군혁명과는 한 가지 일을 반반씩 맡아 한 것이라 하겠다. 4.19의 의롭고 높은 정신성이 「피」로 심어져 5.16에서 몸을 이루어 싹튼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남보듯 할 것이 아니다.

군혁명과업에 있어서 뿐 아니라, 어느 세대의 어떤 과업에 있어서도 가장 근본적이면서 가장 어려운 사업은 소위 「인간혁명」이다. 인간성이란 것은 길을 뜯어 고치고 공장을 세우고 땜을 만드는 것 같이 자라나는 일이 아니다. 4, 5千年(천년) 지낸 오늘에도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는 것이 이 「인간성 개조」의 문제인 것을 보아서 알 수 있다.

「응급수술」은 1963년 여름까지에 끝내고 「민정」에 자리를 맡긴다고 선서되어 있다. 지금은 하두 어마어마한 수술중이니 아무도 허튼 소리 허튼 짓 못하고 엄숙, 긴장한 가운데 그 수술대 앞에서 여념이 없지만, 이제 그 위기를 넘긴 다음에 여전히 부패한 인간들이 또 다시 「정권 장난」이나 일삼는다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될까? 정권이양의 시기보다도 이양받을 인간의 바탕이 더 큰 문제다. 그러니까 「인간혁명」이 무엇보다도 긴급하다는 것이다. 교육, 종교, 문화, 산업 등등 모든 일터는 종합적으로 이 「인간개조」의 도장이어야 할 것이다.

권력에 부수하는 악마성이란 무엇보다도 대단한 것이다. 혁명정부 자체도 이 「권력」의 甘味(감미)에 매혹되지 않았을까 하여 민중은 간단 없이 조바심한다. 그러나 아직 그런 징후는 드러나 있지 않음이 다행이며 자랑이다. 지금의 학생과 시민이 현단계에 있어서 진정으로 군정부를 협조하는 건설 사업이 있다면, 그것은 군정에서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민주국민의 성격 조성에 이바지하는 일일 것이다. 온갖 노예근성을 청산하고 스스로 돕는 인간, 「잘 산다」는 의욕보다도 「바르게 산다」는 긍지를 앞세우는 인간, 의무를 자유보다 소중히 여기는 인간, 권력이나 출세보다도 스스로의 착실한 생활건설에 정진하는 인간, 섬김을 받으려는 양반보다도 섬기려 하는 자유인, 말하려면 한정이 없다. 이런 인간들이 늘어간다면, 「수술」에 땀 흘린 분들이 맘놓고 본직에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4.19의 「義(의)」를 구체적인 면에서 구상하는 4.19의거 청년들의 수는 數萬(수만)에 달할 것이다. 이제 軍政(군정)을 民政(민정)으로 물려받을 그리고 반드시 물려받아야 할 후보자는 딱지 붙은 소위 「政客(정객)」이 아니라 4.19 때에 학생으로 의를 심고 스스로 거두지 못한, 그리고 지금은 다 씩씩한 사회인으로 활약하고 있을 그들 청년이라고 믿는다.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8735
장공2019.02.1408735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9227
장공2018.10.2909227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8837
장공2018.10.0108837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9429
장공2018.04.1609429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9845
장공2017.10.1009845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9746
장공2017.08.0209746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11052
changgong2017.06.26011052
549
[0531] 4ㆍ19의 회고(回顧)와 전망(展望) - 1962년
장공 | 2018.04.19 | 추천 0 | 조회 909
장공2018.04.190909
548
[0519] 4ㆍ19 以後(이후)의 韓國敎會(한국교회) - 1961년
장공 | 2018.04.19 | 추천 0 | 조회 841
장공2018.04.190841
547
[0511] 4ㆍ19와 정신적 기반 - 1961년
장공 | 2018.04.19 | 추천 0 | 조회 872
장공2018.04.190872
546
[범용기 제4권] (18) 상한 갈대 – 断(단)과 和(화)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747
장공2018.04.160747
545
[범용기 제4권] (17) 상한 갈대 – 버려진 헌 신짝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889
장공2018.04.160889
544
[범용기 제4권] (16) 상한 갈대 – 시간의 여울에서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831
장공2018.04.160831
543
[범용기 제4권] (15) 상한 갈대 – 앉은 불상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784
장공2018.04.160784
542
[범용기 제4권] (14) 상한 갈대 – 無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781
장공2018.04.160781
541
[범용기 제4권] (13) 상한 갈대 – 늙어서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804
장공2018.04.160804
540
[범용기 제4권] (12) 상한 갈대 – 오염을 숨쉰다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763
장공2018.04.160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