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범용기 제4권] (38) 내 백성 내 민족 – Soil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8-09-04 10:10
조회
447

[범용기 제4권] (38) 내 백성 내 민족 – Soil

“Soil”이라면 토양(土壤), 즉 “흙”인데 이 흙이 나라로서는 “국토”가 되고, 개인으로서는 자기 “밭”이나 “집터”, “마당”(뜨락)이 되고, 나무와 푸에게는 뿌리 내릴 “어머니” 젖가슴이 된다. 도대체 우리 자유한다는 “동물”들도 “우주인”처럼 바닥에 발 붙일데가 없다면 어떻게 걸을 수 있겠나! 그래서 나라의 “국토” 어느 한 모새기 단 몇 평이라도, 어느 작디작은 무인도 하나라도, 어느 다른 나라에 점령된다면 몇 만 명 국민의 목숨이 오가는 싸움이 벌어지기도 한다.

왜 그럴까? 그 “흙”은 “단순한 ‘자연’의 흙”일 뿐 아니라, 이미 인간화, 국민화한 흙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몇천년전부터 조상들이 살았고, 그 삶의 터전을 지키노라고 침략자들과 싸웠고 대대손손 물려주고 물려받으며 애지중지 간직해 온 유산이기 때문이다. 한 덩어리 바위, 한 그루 나무 한 포기 꽃이라도 우리 겨레의 손때묻고, 정과 한이 감싸인 흙이요, 산이요, 바위요, 시내요, 나무요, 풀인 것이다. “국토”는 이제 내 “몸”의 한 부분이요, 내 “몸”의 외연(外延)이다. 국토를 잃으면 “애기”나 잃은 듯 가슴 아프다. 한ㆍ일 합방 때, 얼마나 많은 선비들이 “자결”했던가는 박은식 선생의 “한국독립혈사”를 읽는 것만으로도 짐작이 갈 것이다.

필자는 지금부터 약 40년 전 “하와이”에 처음 들렀을 때, 거기 친구들이 저녁후에 아름드리 큰 나무 밑에로 나를 데려갔다. 거기서 하와이 원주민들의 “훌러땐스”를 구경했다. 땐스 자체도 특이했지만 “일루미네이션”으로 휘황 찬란한 한 그루 거목이 내게는 더 흥미로웠다. 그 나무는 가지가 내리 드리워 그 끝이 땅에 닿자마자 뿌리를 박아 또 하나 딴 그루의 나무가 된다. 그것이 줄래줄래 숲을 이룬다. 진짜 한 숲이 한 나무다. “피”가 한 “핏줄”을 돈다.

오랜 후일에 듣기로는 그 종류의 나무가 여기저기 있어서 시가 계획을 다시펼 때, 그 나무를 파내 버리자고 시에서 손대려 했다가 시민들의 항거로 길을 돌려 냈다 한다. 그래서 길 가생이에서 그 나무는 여전하다고 했다. 나도 흐뭇했다. 몇 백 년, 몇 천 년, 이 겨레를 지켜보며 뿌리를 지심(地心)까지 내린, 그리고 그 뿌리가 20리 30리의 넓이에 뻗은 경기도 양주(揚州)의 은행나무를 어느 누가 감히 톱질할 수 있을거냐? 속칭 원효대사가 손수 심었다는 은행나무다. 어느 작고 가는 가지 끝 하나 마르거나 시들은데가 없다. 그런 나무는 진정 국토의 “수호목”이다. 성균관 대성전 뜨락에도 그런 거목 느티나무들이 아직껏 싱싱하다. 연령으로는 “이조”(李朝)와 비슷하겠지만, 목숨은 “이조”를 한토막 “과거”에 묻고 미래를 자기 몸에 잉태하며 끝없이 산다. 흙의 자랑이고 시냇물의 자랑이고 민족생명의 자랑이다.

“퍼얼ㆍ벅”의 노벨상 대표작인 “대지”(大池)에 그 주인공(농민)이 기아선상(飢餓線上)에서 가족을 흩고 유랑하면서도 자기 밭에서 쥐고 간 “흙” 한 줌이 그의 “혼”을 “투사”같이 싸울 수 있게 했다는 얘기가 있다. 결국 그는 자기 흙, 뿌리내릴 자기 Soil을 되찾고야 말았다. 인상적이다.

[1981. 7]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8664
장공2019.02.1408664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9153
장공2018.10.2909153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8737
장공2018.10.0108737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9350
장공2018.04.1609350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9769
장공2017.10.1009769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9669
장공2017.08.0209669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10972
changgong2017.06.26010972
669
[범용기 제4권] (42) 내 백성 내 민족 – 居移氣(거이기)
장공 | 2018.09.04 | 추천 0 | 조회 451
장공2018.09.040451
668
[범용기 제4권] (41) 내 백성 내 민족 – 민족은 흐른다
장공 | 2018.09.04 | 추천 0 | 조회 432
장공2018.09.040432
667
[범용기 제4권] (40) 내 백성 내 민족 – “못자리”와 “모내기”
장공 | 2018.09.04 | 추천 0 | 조회 441
장공2018.09.040441
666
[범용기 제4권] (39) 내 백성 내 민족 – Exodus
장공 | 2018.09.04 | 추천 0 | 조회 452
장공2018.09.040452
665
[범용기 제4권] (38) 내 백성 내 민족 – Soil
장공 | 2018.09.04 | 추천 0 | 조회 447
장공2018.09.040447
664
[범용기 제4권] (37) 내 백성 내 민족 – 진달래 國花論
장공 | 2018.09.04 | 추천 0 | 조회 546
장공2018.09.040546
663
[범용기 제4권] (36) 내 백성 내 민족 - 民草
장공 | 2018.09.04 | 추천 0 | 조회 506
장공2018.09.040506
662
[1760] 부활은 영생의 열매
장공 | 2018.07.09 | 추천 0 | 조회 852
장공2018.07.090852
661
[1074] 차세와 내세
장공 | 2018.07.06 | 추천 0 | 조회 846
장공2018.07.060846
660
[0101] 예찬의 말씀 - 성 프란체스코 / 1926년
장공 | 2018.07.05 | 추천 0 | 조회 819
장공2018.07.05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