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범용기 제5권] (119) 동경에서 – 허(虛)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8-10-19 08:16
조회
813

[범용기 제5권] (119) 동경에서 – 허(虛)

‘코헬레드’는 헛되고 헛되어 모든 것이 헛되다. 모든 것은 출구없는 순환이다 하는 말로 시작한다. 이것은 ‘존재’ 자체가 ‘無’(무)란 말이 아니라, 그 존재의 ‘의미’가 무요 따라서 그것이 허무하다는 뜻일 것이다.

예수는 “마음이 가난한 자 복이 있다”고 했다. 마음이 가난하다는 것은 탐욕없는 마음을 의미한다. ‘물욕’, ‘명예욕’, ‘지위욕’ 등등이 마음 속에 ‘초만원’으로 비좁게 찬 사람은 心貧者(심빈자)랄 수 없겠다.

마치 ‘위’에 가스가 찬 것 같은 것 말이다. 그래서 이웃이 앉을 자리도 없고 하나님을 모실 성도도 없다.

자기 욕심과 사람들의 신뢰와는 정비례로 되는 것 같다. 자기 욕심이 없는 분일수록 사람들이 믿고 따른다. 예수에게는 티끌만한 ‘사심, 사욕’도 없었다. 그렇길래 2천년 전 그를 몸으로 보며 따르던 12사도들로부터 시작하여 2천년 후 그를 보지 못하고서 따르는 제자가 억만으로 늘었다. 갈수록 늘 것이다.

혹시는 Demonish한 권력에 눌려, 숨는 자, 탈락하는 자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마음은 가난한 대신에 불안하다. 일본의 덕천(德川幕府)가 기리스단 금교령을 내렸을 때, 순교자도 많았지만 지하에 잠복한 신자가 더 많았다. 땅 속의 두더쥐는 잡히지 않았다. 그들은 몰라보게 변장한다. 카멜레온같이 변색한다. 그러나 명치 황제가 신교의 자유를 새헌법으로 발표할 때 하루에 6만명(?)이 조상대대 크리스찬으로 등록했다는 것이었다.

크리스찬 신앙은 ‘코헬레드’의 바람잡이가 아니다. 무의미한 ‘숙명’의 ‘윤회’가 아니다. 그것은 하늘에서 내려 꽂힌 ‘전능자’의 사랑이다. 그것은 땅에서 하늘에의 사랑의 응답이다. 그것은 사랑에서 불멸의 의미를 본다. 그 사랑의 넓이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가 어떠함을 깨달아 하느님의 충만하심이 너희에게 충만하시기를 빈다(엡 3:19)고 바울은 권면했다.

그 순간 우리의 마음은 비어 있지 않다. 사랑의 기쁨으로 차고 넘친다. 우리의 삶은 허무가 아니다. 모든 것이 다 가도 사랑은 영원하다. 주는 사랑, 받는 사랑, ‘삶’ 자체가 사랑 안에서 영원하다. 죽음은 이 삶 속에 포섭되어 ‘무력자’가 된다. 죽음은 부활에의 ‘서곡’을 연주한다. (1980. 6)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10548
장공2019.02.14010548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11135
장공2018.10.29011135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10589
장공2018.10.01010589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11318
장공2018.04.16011318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11568
장공2017.10.10011568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11486
장공2017.08.02011486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12864
changgong2017.06.26012864
869
[범용기 제5권] (127) 輓章文記(만장문기) - 정자에게
장공 | 2018.10.22 | 추천 0 | 조회 1235
장공2018.10.2201235
868
[범용기 제5권] (126) 輓章文記(만장문기) - 첫 머리에
장공 | 2018.10.22 | 추천 0 | 조회 898
장공2018.10.220898
867
[범용기 제5권] (125) 동경에서 – 춤을 잃은 민족
장공 | 2018.10.19 | 추천 0 | 조회 1157
장공2018.10.1901157
866
[범용기 제5권] (124) 동경에서 – 除夜(제야) 讀詩(독시)
장공 | 2018.10.19 | 추천 0 | 조회 1282
장공2018.10.1901282
865
[범용기 제5권] (123) 동경에서 – 能辯者(능변자)
장공 | 2018.10.19 | 추천 0 | 조회 950
장공2018.10.190950
864
[범용기 제5권] (122) 동경에서 – 권력자와 ‘야인’
장공 | 2018.10.19 | 추천 0 | 조회 912
장공2018.10.190912
863
[범용기 제5권] (121) 동경에서 – 周公(주공)
장공 | 2018.10.19 | 추천 0 | 조회 807
장공2018.10.190807
862
[범용기 제5권] (120) 동경에서 – 新彊(신강)의 流謫者(유적자)
장공 | 2018.10.19 | 추천 0 | 조회 809
장공2018.10.190809
861
[범용기 제5권] (119) 동경에서 – 허(虛)
장공 | 2018.10.19 | 추천 0 | 조회 813
장공2018.10.190813
860
[범용기 제5권] (118) 동경에서 – 회당안 ‘독좌’와 묵도
장공 | 2018.10.19 | 추천 0 | 조회 827
장공2018.10.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