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범용기 제4권] (65) 細語錄(세어록) - 의리와 멋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8-09-11 11:23
조회
466

[범용기 제4권] (65) 細語錄(세어록) - 의리와 멋

“○○가 범용한 인간이지만 ‘의리’는 있어!”

“‘실수’는 있어도 ‘의식적이고 계획적인’ 배신행위는 없단 말이야!” - 그러나 그것이 멋지단 말은 아니다.

‘의리’라면 ‘굳은 떡’ 같아서 구미가 동하지 않는다. 맛이 없다. 한국말에 ‘멋’이란 단어는 ‘맛’이란 말과 통하는 데가 있지 않을까. 사람됨됨이의 ‘맛’이 그 사람의 ‘멋’이랄 수 있겠다.

‘멋’이란 그 사람의 몸에 밴 세련된 ‘맛’이다.

한국 사람은 ‘멋’을 무척 좋아한다. ‘멋쟁이’, ‘멋모르고 덤빈다’, ‘멋없이 굴지 말라’, ‘멋적다’ 등등 큰 사전을 보면 그 밖에도 ‘멋들어진’ 말들이 수두룩하게 적혀 있다.

예수의 비유 교훈에 제자들을 상대로 “너희는 세상에 소금이다. 소금이 만일 맛을 잃으면… 밖에 버려저 사람들 발에 짓밟힐 뿐이다.” 했다. 소금의 ‘맛’은 짜다. 짠게 소금의 ‘멋’이다. 그러나 ‘맛’은 짠 것 만이 아니다. 싱거운 것, 매운 것, 단 것, 신 것, 짜릿한 것, 쓴 것 등이 모두 ‘맛’이다. 이 모든 것이 조화된 맛에 사람의 혀는 행복하다. 그래서 ‘양념’, 즉 ‘조미료’가 반드시 부엌과 식탁에 등장한다. 그 중에서도 ‘소금’이 ‘왕’이다. 짠 맛이 없으면 다른 맛들은 제구실을 못한다.

나는 ‘맛’이 ‘멋’이라고 했다. 억지 해석이지만 ‘근사치’는 있다고 용납해 둔다.

맛은 어느 하나만이 극성을 부려서는 ‘진미’(珍味) 노릇을 못한다. 조화미(調和美)라야 한다. ‘멋’도 그렇다. 그런데 ‘멋’을 말하는 한국민족에게서 ‘조화의 맛’이 고갈됐다. 따라서 ‘멋’의 여백이 만원된 극장 같이 좁아졌다.

내 나라를 남들이 갈라놓고 남과 북에 자기들의 꼭두각시 왕국을 세우고 북에서 남에, 남에서 북에 증오의 불을 질르게 한다. 옛날 ‘유방’이 진시황의 아방궁을 불지르듯 어느 한 편이 재만 남게 한다. 그리고 신나서 만세를 부른다. 멋도 재가 된다.

진짜 그래야 되는가? 소금이 ‘조미료’ 노릇을 안하고 소금맛 일색으로 ‘독재’해야 한단 말인가?

소위 주체사상만이 사상이고 다른 생각은 못하고 안하는 것이 ‘인간’이란 말인가?

3ㆍ8선이 설정된 것만도 억울하고 밸꼴리는 일이지만 그걸 ‘신성불가침’의 성역으로 聖別(성별)하려는 一味主義者(일미주의자)가 더 괴상스럽다.

소금 맛이 없을 수 없지만 그것이 너무 강하면 물이 죽는다. 死海(사해)가 그것이다. 죽은 바다여서 생물이 없다. 미국 ‘유타주’의 염해(Soltlake)도 그렇다. 소금이 너무 많으면 생명이 김치처럼 저려진다. ‘독재’는 권력의 ‘맛’이다. 그것이 너무 강하면 백성이 전 김치가 된다. 공산독재는 ‘주의’의 ‘맛’이다. 그것이 너무 강하면 ‘사회’가 ‘사해’로 된다. 생명은 없고 염수만 남는다. 아무리 좋은 사상이라도, 아무리 바람직한 일이라도 그것이 ‘극’으로까지 올라갈 자격은 없다. 본성이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대립 상태에서는 더욱 그렇다. 어느 한편이 폭력으로 상대방을 깔아 뭉갠다. 폭력행위 자체가 더 큰 불의의 뿌리고, 깔아 뭉갠다는 것이 ‘의’로운 열매일 수가 없다.

“이쯤하고 ‘타협’해 봅시다.” - 그래서 국제연합도 생기고 평화회의도 생기고 국제재판소도 열린다. 그 결과가 그리 신통치 않아서 ‘타협’이란 말 자체도 듣기 싫어진다. 부자가 비게 낀 아랫배를 만지면서 가난뱅이들에게 술 한 잔 부어주고 빙그레 웃는 장면이 눈 앞에 돋보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타협’이란 언어를 ‘조화’란 말로 대체시킨다면 어감만이라도 좀더 근사하지 않을까 싶다. 말하자면 소금이 ‘일미주의’가 아닌 ‘조미료’ 노릇을 하게 하란 말이겠다. 그래야 국제적으로 민주운동이 떳떳해질 것이다.

[1982. 2]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10517
장공2019.02.14010517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11099
장공2018.10.29011099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10555
장공2018.10.01010555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11286
장공2018.04.16011286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11538
장공2017.10.10011538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11457
장공2017.08.02011457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12831
changgong2017.06.26012831
959
새해 머리에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1987년 1월 19일]
장공 | 2021.01.25 | 추천 1 | 조회 1686
장공2021.01.2511686
958
[귀국이후] (15) [1722] 都市文明(도시문명) 안에서의 감사절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2146
장공2019.05.2402146
957
[귀국이후] (14) [1721] 山川(산천)에 歸國(귀국)인사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953
장공2019.05.2401953
956
[귀국이후] (13) [1720] 水原(수원)에서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987
장공2019.05.2401987
955
[귀국이후] (12) [1719] 答禮(답례)의 宴(연)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917
장공2019.05.2401917
954
[귀국이후] (11) [1718] 凡庸記(범용기) 1, 2권 合本(합본) 國內版(국내판) 出版記念會(출판기념회)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974
장공2019.05.2001974
953
[귀국이후] (10) [1717] 1983년 晩秋(만추)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2224
장공2019.05.2002224
952
[귀국이후] (9) [1716] 書(서)라는 것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2084
장공2019.05.2002084
951
[귀국이후] (8) [1715] 글씨 쓰는 시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2060
장공2019.05.2002060
950
[귀국이후] (7) [1714] 첫 환영의 모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2217
장공2019.05.2002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