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범용기] (121) 조선신학원 발족 – 식구들 서울에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7-08-01 09:39
조회
4731

[범용기] (121) 조선신학원 발족 – 식구들 서울에

우리 식구래야 아내와 딸 셋, 아들 둘이다. 애들 이름은 아버님께서 옛날 지은 작명법을 따라 글자 획수를 헤면서 오행(五行)에 맞춰 지은 것이다.

맏딸은 선계(仙桂)라 했고 둘째 딸은 단계(丹桂)라 했다. 맏아들 은용(恩鎔)만은 내가 간도 가는 길에 ‘창꼴집’에서 났는데 그애 이름은 나더러 지으라 해서 나는 ‘은혜’로 주신 애기라는 뜻과 ‘은진’(恩眞)가는 길에 큰 집에서 났다는 뜻도 품겨서 ‘은용’이라고 했다. ‘선계’와 ‘단계’는 기생 이름 같아서 후에 내가 고쳤다. 맏딸은 ‘정자’(正子)라 하고 둘째 딸은 ‘신자’(信子)라 했다. 맏딸에는 정의감이 강하고 어느정도 남성적인데다가 기(氣)가 승(勝)해서 남에게 지기를 무던히 싫어했기 때문에 바를 정(正)자를 붙였고, 둘째 딸은 좀 얌전하고 진실해 보이기 때문에 믿을 신(信)자로 부른 것이었다.

그때는 일제말기라 일본식으로 여자에게 아들 자(子)자를 쓰는 사람이 많았다. 뿐만 아니라, 한국 풍속에서도 여자애에게 아들자자 이름을 붙이면 다음에는 아들이 난다는 얘기도 있어서 두루두루 그리된 것이었다. 해방 후에 본인들이 일본식이 싫다고 ‘子’자를 ‘慈’자로 고쳐 쓰고 있다.

“혜원”은 내가 미국에서 돌아와 얻은 첫 아이니만큼 이름도 새로운 각도에서 생각해 본 것이었다.

사실 정자와 신자는 애기 시절에 ‘아버지’ 사랑을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자랐을 것이다.

‘정자’는 내가 신아산 소학교 교사로 있을 때 잉태되어 만삭된 달에 나는 일본 유학을 떠났고 아내는 큰집에 돌아가자 곧 첫아이가 난 것이다. 내가 청산신학교 졸업반 때 하기방학에 귀국에서 처음 내 첫 애기를 면대했다. 그것이 정자가 4살 때였을 것이다. 그것도 잠깐이고 곧 순회전도니 뭐니 하고 돌아다녔고, 잠깐 후에는 귀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신자는 내가 미국가기 바로 전에 여비등 문제 등등으로 ‘창꼴집’에 들렀을 때 임신되었는데 미국 유학 4년을 마치고 귀국해서 처음보았으나 아마 신자가 다섯 살 때였을 것이다.

귀국해서 내가 평양에 직장을 갖게 되자 온식구가 처음으로 한데 모여 Home라고 갖게 된 것은 위에서 언급한대로다.

전농정에서 식구들이 모여 살았다. 제집같고 살았다는 것이 발전일지 모르겠다. 내가 서울 가면서 가족들은 또 ‘창골집’의 ‘대가족’ 보자기 속에 품겼다가 추후해서 서울에 모인 것이다.

그러고보니, 우리 식구들 중에서, 나서 네 살까지 자라면서 아버지 그림자도 못 본 딸은 ‘신자’였을 것이다. 그러니 그애는 ‘아버지’가 그리웠을 것이고 아버지 사랑을 동경했을 것이다.

그런데 ‘아버지’는 아직도 외톨이 학생 기분이었고 다섯 가족의 ‘아버지’란 의식은 뿌리박혀 있지 않았다. 그러니 ‘아버지’ 노릇을 제대로 못한 셈이다. 했을 리가 없다.

부모를 떠나 남편과 연합하여 한몸되는 결혼이나 잘되어 축복받기를 기원했을 정도였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자녀들 결혼에 간섭하지 않았다. 여섯 자녀가 예외없이 자유 결혼이다. 자기들끼리서 결정해 놓고서야 아버지께 ‘문의’한다. 아버지는 “사돈될 분이 좋게 여기느냐? 너희가 서로 사랑하느냐” 등등의 몇가지를 묻고서는 “좋다”, “축복한다”로 끝낸다.

아버지는 그런 점에서 너무 비정서적이랄까. 신자가 어린 시절에 남달리 그리워한 사랑이 결혼 후에도 심층 어느 한구석에 응결되 있지나 않을까 싶어 아버지는 미안한 것 뿐, 이제와서 속량할 길은 막연하다. 다른 아이들에게도 마찬가지다.

내가 교회나 사회나 국가에는 어느 정도 발언할 권리가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가정과 가족들, 자녀들에게는 나 자신으로서는 할 말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이 그만큼 부모를 위해주고 자기들 생활에도 큰 재난을 탈선없이 사는 것은 오로지 하나님 은혜라고 감사한다.

막내 아들 관용은 이정희(李貞姬)와 역시 자유결혼하여 지금 수유리에서 산다. 아버지가 1959년부터 줄곧 독재반대에 나섰고 해외에 나와서도 마찬가지기 때문에 막내는 일종의 인질(人質)로 거기를 뜨지 못하고 있다. 아버지는 그에게도 미안하다. 그러나 그에게는 엉뚱한 대망이 없다. 교회 생활에 충실하고 직장에서 한점 부정도 없기 때문에 정치적, 사회적 시련이 닥치지 않는다. 한양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지금 그 학교 자재과장으로 있다.

늙은 아내는 “그애까지 여기 왔으면 얼마나 좋겠소!”하며 입버릇처럼 뇐다.

작은 교직자요, 동지요, 나의 상담자인 이상철 박사는 내 사위로서 아들 직책도 분담하고 있다. 그러고보니, 나는 자녀에게 물질적으로 남겨줄 아무 것도 없으면서도 자녀들 효양은 남못잖게 받고 있는 셈이다. 구태여 말한다면 그리스도가 내 유산이랄까? 예수도, 성프랜시드도, 로욜라도, 내게 세례 베푸신 김영구 목사님도 그러했으니 내가 외로울 것은 없겠다.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8676
장공2019.02.1408676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9170
장공2018.10.2909170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8749
장공2018.10.0108749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9369
장공2018.04.1609369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9788
장공2017.10.1009788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9688
장공2017.08.0209688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10993
changgong2017.06.26010993
959
새해 머리에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1987년 1월 19일]
장공 | 2021.01.25 | 추천 1 | 조회 1530
장공2021.01.2511530
958
[귀국이후] (15) [1722] 都市文明(도시문명) 안에서의 감사절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978
장공2019.05.2401978
957
[귀국이후] (14) [1721] 山川(산천)에 歸國(귀국)인사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793
장공2019.05.2401793
956
[귀국이후] (13) [1720] 水原(수원)에서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829
장공2019.05.2401829
955
[귀국이후] (12) [1719] 答禮(답례)의 宴(연)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757
장공2019.05.2401757
954
[귀국이후] (11) [1718] 凡庸記(범용기) 1, 2권 合本(합본) 國內版(국내판) 出版記念會(출판기념회)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818
장공2019.05.2001818
953
[귀국이후] (10) [1717] 1983년 晩秋(만추)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2046
장공2019.05.2002046
952
[귀국이후] (9) [1716] 書(서)라는 것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926
장공2019.05.2001926
951
[귀국이후] (8) [1715] 글씨 쓰는 시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894
장공2019.05.2001894
950
[귀국이후] (7) [1714] 첫 환영의 모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2039
장공2019.05.2002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