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귀국이후] (8) [1715] 글씨 쓰는 시간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9-05-20 17:30
조회
1614

[1715] 글씨 쓰는 시간

長空(장공)이 白雲臺谷(백운대곡)에 閑居(한거)한다는 것 때문에 弟子(제자)와 후배들이 書(서)를 부탁하는 경우가 많다. 習作(습작) 정도도 못 되는 글씨지만, 교훈 될 古典名句(고전명구)나 名詩(명시), 韓譯聖書(한역성서) 등에서 골라 써 드린다.

亦是(역시) 글씨 쓸 동안에는 잡념이 없어진다. 번뇌도 사라진다. 어느정도 창작의 기쁨도 느낀다.

그래서 “空”의 귀국후 기록중에는 글씨로 消日(소일)한 날이 많다.

오늘 남은 시간은 書에 바쳤다.

李春雨 夫婦가 부탁한 열폭 병풍에는 우리나라 聖賢(성현)들의 詩(시)를 한분 것 한 首(수)씩 골라 썼다. 仁鏞(인용)이 부탁한 글씨 시편 93편과 餘墨(여묵) 몇점, 이원종 장로가 부탁한 글씨 退溪(퇴계) 15세 때 作(작) “石蟹”(석해) 등등이다.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7566
장공2019.02.1407566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7894
장공2018.10.2907894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7349
장공2018.10.0107349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8137
장공2018.04.1608137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8659
장공2017.10.1008659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8416
장공2017.08.0208416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9717
changgong2017.06.2609717
959
새해 머리에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1987년 1월 19일]
장공 | 2021.01.25 | 추천 1 | 조회 1402
장공2021.01.2511402
958
[귀국이후] (15) [1722] 都市文明(도시문명) 안에서의 감사절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773
장공2019.05.2401773
957
[귀국이후] (14) [1721] 山川(산천)에 歸國(귀국)인사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621
장공2019.05.2401621
956
[귀국이후] (13) [1720] 水原(수원)에서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654
장공2019.05.2401654
955
[귀국이후] (12) [1719] 答禮(답례)의 宴(연)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582
장공2019.05.2401582
954
[귀국이후] (11) [1718] 凡庸記(범용기) 1, 2권 合本(합본) 國內版(국내판) 出版記念會(출판기념회)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42
장공2019.05.2001642
953
[귀국이후] (10) [1717] 1983년 晩秋(만추)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842
장공2019.05.2001842
952
[귀국이후] (9) [1716] 書(서)라는 것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97
장공2019.05.2001697
951
[귀국이후] (8) [1715] 글씨 쓰는 시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14
장공2019.05.2001614
950
[귀국이후] (7) [1714] 첫 환영의 모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805
장공2019.05.200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