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범용기 제4권] (104) 역사물 단장 – 독립 한국을 향한 가시밭 행군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8-09-28 08:08
조회
665

[범용기 제4권] (104) 역사물 단장 – 독립 한국을 향한 가시밭 행군

- 그래도 나라는 망하고 말았다 -

일청, 일로전쟁을 지내고 1905~1906 ‘乙巳(을사)보호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이에 반대하여 의분자살한 지사들 이름만도 민영환을 비롯하여 조병세, 홍만식, 이한응, 이상철, 전봉학, 송병준 등등이고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전투한 장군들은 경기도에 허조, 유명규, 조인환, 권준, 이은찬, 강원도의 민긍호, 이인영, 김덕제, 이언영, 정대일, 경상도에 이강년, 신돌석, 변학기, 유명룡, 최성천, 전라도에 김동식, 이학사, 김해산, 충청도에 지룡기, 이인재, 황해도에 이진룡, 민효식, 김정안, 평안도에 양혁진, 이승훈, 함경도에 차도선, 홍범도, 이범윤, 송상봉 등이었다. 동원무장된 의병의 수가 14만 3천 4백 6십 4명, 일본군과의 교전 회수가 2천 8백 7십 4회로 기록되어 있다.

1908년에 전명운, 장인환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일본의 한국 지배를 당연, 또는 불가피한 것으로 미국에 선전하러 오는 미국인 ‘스티븐스’를 총살했고 1909년 10월 24일에 안중근은 하르빈 역에서 이등박문을 암살했다.

그러나 1910년 8월 22일에 ‘데라우찌’(寺內) 통감은 이완용 내각을 조작하여 어전회의에서 한일합방조약을 체결했다.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7566
장공2019.02.1407566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7894
장공2018.10.2907894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7349
장공2018.10.0107349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8137
장공2018.04.1608137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8659
장공2017.10.1008659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8416
장공2017.08.0208416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9718
changgong2017.06.2609718
959
새해 머리에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1987년 1월 19일]
장공 | 2021.01.25 | 추천 1 | 조회 1402
장공2021.01.2511402
958
[귀국이후] (15) [1722] 都市文明(도시문명) 안에서의 감사절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773
장공2019.05.2401773
957
[귀국이후] (14) [1721] 山川(산천)에 歸國(귀국)인사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621
장공2019.05.2401621
956
[귀국이후] (13) [1720] 水原(수원)에서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655
장공2019.05.2401655
955
[귀국이후] (12) [1719] 答禮(답례)의 宴(연)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583
장공2019.05.2401583
954
[귀국이후] (11) [1718] 凡庸記(범용기) 1, 2권 合本(합본) 國內版(국내판) 出版記念會(출판기념회)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42
장공2019.05.2001642
953
[귀국이후] (10) [1717] 1983년 晩秋(만추)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842
장공2019.05.2001842
952
[귀국이후] (9) [1716] 書(서)라는 것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97
장공2019.05.2001697
951
[귀국이후] (8) [1715] 글씨 쓰는 시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14
장공2019.05.2001614
950
[귀국이후] (7) [1714] 첫 환영의 모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805
장공2019.05.200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