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장공의 글

[범용기 제4권] (76) 자연은 인간의 큰 집 – 눈 내리던 날

범용기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8-09-13 14:35
조회
471

[범용기 제4권] (76) 자연은 인간의 큰 집 – 눈 내리던 날

요새 다른 날들은 강추위로 낮에 어름을 비벼 넣은 것 같았지만, 오늘 눈 내리는 바로 지금은 바람도 없고 그리 춥지도 않다. 나가서 아름들이 가로수 밑을 걷는다. 나무마다 눈꽃이 소복하다. 참새가 깃을 털고 날아가면 내 머리 위에 ‘락키’의 만년을 흰 하늘이 스친다.

계곡을 찾아 거닌다. 아무도 아직 발자국을 남기지 않았다. 시냇물은 얼지 않았다. 완만하여 물결이 없다. 굴르잖으니 더 추워 보인다. 내 후배들이 본국의 감옥 속에서 살이 얼어터지는 자기 발을 주무르며 ‘시’를 구상하는 모습이 떠오른다. 소리없이 몸으로 흐느끼는 그들에게는 의로운 자랑과 외로운 슬픔이 있다.

어쩌다가 흐릿한 구름 틈에서 햇빛이 샌다. 눈도 이제는 몇알씩 휘영청 날릴 뿐이다. 햇살은 밝으면서도 샐쭉해서 웃지를 않는다. 그 야릇한 광파(光波)가 얇은 ‘레이스’를 짠다.

‘크리스마스 츄리’에 매달린 솜 송이처럼 억지로 앉아 있던 눈(雪)망울들이 빛을 타고 날아가버린 다음의 나목(裸木)은 벗은 여인처럼 내 앞에서 부끄러워한다.

사람의 ‘발’이란 뭔가를 밟는 재미로 붙어있는 녀석이 아닐까? 늦은 봄에는 떨어진 꽃잎을 밟는 재미에 홀린다. 늦은 가을에는 낙엽 밟는 재미, 겨울에는 눈 밟는 기분에 좋아한다.

그 중에서 눈 밟는 늙은이의 풍류랄까? 특히 갖 온 눈에 푹푹 빠지며 천천히 시름없이 옮기는 발은 흰 벌에 첫길을 여는 멋이 있다. 그래서 가슴에 수필을 그린다.

하얀 갈매기들이 떼지어 날아온다. 하얀 눈벌(雪原) 위에 흰 갈매기란 한국에서는 그리 흔한 ‘콤비’가 아니다. 인천 갈매기가 서울까지 날아오는 일은 거의 없다.

‘바다’ 같은 ‘호수’를 바로 겨드랑이께 낀 토론토는 행복하다.

갈매기들은 호수에서 ‘배’가 출출해지면 육지에 올라와 고기 창자며 베어버린 생선 대가리 따위를 사냥하는 것이겠지. 오늘도 내게는 ‘풍류’니 ‘멋’이니 하는 ‘감상’에 그려지는 그들이지만 그들 자신으로서는 생존을 위한 ‘선택 없는’ 몸부림일 것이다.

그러나 눈 깔린 ‘벌’에 예비된 식탁이 있을리 없다. 그들은 계곡의 하찮은 개천 여울에 앉는다. 어떤 놈은 헤엄친다. 뭐 먹을 걸 던져주고 싶었다.

나는 털로 안을 짜 넣은 좀 투박스런 반장화를 신었기에 발시릴 걱정은 없다. 그러나 이제 앞길이 창창하달 수 없는 나이니 내게는 ‘시간’이 금싸래기다. 도루 걸어 내 방 책상에 마주 앉는다. “내 남은 날들이 주님 영광 더럽히는 기록이 되지 않게 합소서” - 기원을 올리고 붓을 든다.

전체 966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추천조회
공지사항
[귀국이후] (1) 머리말 - 범용기 속편
장공 | 2019.02.14 | 추천 0 | 조회 7566
장공2019.02.1407566
공지사항
[범용기 제6권] (1601) 첫머리에
장공 | 2018.10.29 | 추천 0 | 조회 7894
장공2018.10.2907894
공지사항
[범용기 제5권] (1) 北美留記(북미유기) 第七年(제7년) 1980 – 설날과 그 언저리
장공 | 2018.10.01 | 추천 0 | 조회 7349
장공2018.10.0107349
공지사항
[범용기 제4권] (1) 序章 - 글을 쓴다는 것
장공 | 2018.04.16 | 추천 0 | 조회 8137
장공2018.04.1608137
공지사항
[범용기 제3권] (1) 머리말
장공 | 2017.10.10 | 추천 0 | 조회 8659
장공2017.10.1008659
공지사항
[범용기 제2권] (1) 머리말
장공 | 2017.08.02 | 추천 0 | 조회 8416
장공2017.08.0208416
공지사항
[범용기 제1권] (1) 첫머리
changgong | 2017.06.26 | 추천 0 | 조회 9717
changgong2017.06.2609717
959
새해 머리에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1987년 1월 19일]
장공 | 2021.01.25 | 추천 1 | 조회 1402
장공2021.01.2511402
958
[귀국이후] (15) [1722] 都市文明(도시문명) 안에서의 감사절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773
장공2019.05.2401773
957
[귀국이후] (14) [1721] 山川(산천)에 歸國(귀국)인사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621
장공2019.05.2401621
956
[귀국이후] (13) [1720] 水原(수원)에서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655
장공2019.05.2401655
955
[귀국이후] (12) [1719] 答禮(답례)의 宴(연)
장공 | 2019.05.24 | 추천 0 | 조회 1583
장공2019.05.2401583
954
[귀국이후] (11) [1718] 凡庸記(범용기) 1, 2권 合本(합본) 國內版(국내판) 出版記念會(출판기념회)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42
장공2019.05.2001642
953
[귀국이후] (10) [1717] 1983년 晩秋(만추)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842
장공2019.05.2001842
952
[귀국이후] (9) [1716] 書(서)라는 것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97
장공2019.05.2001697
951
[귀국이후] (8) [1715] 글씨 쓰는 시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614
장공2019.05.2001614
950
[귀국이후] (7) [1714] 첫 환영의 모임
장공 | 2019.05.20 | 추천 0 | 조회 1805
장공2019.05.200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