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02-2125-0162
changgong@hs.ac.kr

강좌 및 강연

[목요강좌 제2회] 한국기독교장로회의 뿌리와 장공 김재준 / 서굉일

목요강좌
작성자
장공
작성일
2017-07-14 09:02
조회
1203

제2회 장공사상연구 목요강좌 장소 : 경동교회
일시 : 2003년 12월 11일 오후 5시


한국기독교장로회의 뿌리와 장공 김재준

서굉일
(한신대 국사학과)

목차

서론

I. 역사적 연원

1. 「때가 차서」, 역사적 계기
2.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
3. 카나다 선교부의 관북선교
4. 서북교권에 저항한 적극 신앙단운동
5. 조선 신학권의 설립

II. 해방 10년사의 역사적 정황

1. 민족분단과 남부대회
2. 한국교회 자주권 획득을 위한 싸움
3. 새 역사 운동으로 발전한 호헌운동
4. 장공 김재준의 그리스도 건국이념
5. 해방 후 기독교 민족사회 운동세력

III. 맥 속에 관통하는 성격

1. 민족주의 기독교 운동세력
2. 카나다 선교부의 동행
3. 학문의 자유, 신앙양심의 자유
4. 자주적 주체적 자립교회

IV. 장공을 둘러싼 중요 인맥

1. 만우와 장공
2. 호법의 진리운동
3. 남도 토착화 기독교의 영성

결론

참고문헌


기장의 뿌리와 장공

연구의 접근방법

한국기독교장로회의 뿌리가 무엇일까? 그것은 기장의 출범과 성장에 대한 고찰에서 드러날 것이다. 기장이 탄생함에는 “때가 차서”라는 하나님의 경륜과 섭리하심이 있을 것이며, 독특한 명분이 있었을 것이다. 기장은 탄생 이후 한국교회와 민족사회에 많은 기여와 공헌을 이룩하였다고 생각한다.

2003년은 기독교장로회가 탄생된 지 50년이 되는 해를 맞이하여 총회차원에서 희년축하예배를 드린 바 있다. 기독교장로회의 역사적 이상이 지난 50년 동안 기장 자체의 안과 밖에 살아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그 전 단계로서 기장의 뿌리가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고는 1953년 6월 10일 기장이 출범하기까지 한국교회와 민족사안에 우리들은 어떤 준비를 하였는지 그 중요요소들을 발견해 보고자 한다.

공간적으로 한국교회사를 신앙지리학적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기장은 함경도, 간도, 카나다선교부 선교지역의 신학운동과 관계가 깊다. 또한 경충지역에는 서북교권에 저항하는 반 선교사, 반 서북교권의 남북대결이 있었으며 충청ㆍ호남지역에는 총회의 불법을 비판한 호헌운동이 있었다. 영남지역에는 자주적 민족자본의 자립경제운동이 있었는데 기장은 이러한 지역의 종교 지리적 총화로 시작되었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역사는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이라면, 시간적으로 종교적 근본주의, 교권주의가 압도하던 한국교회의 현실에서 복음의 자유와 신앙양심의 자유를 주장하면서 민족교회, 민중교회의 전통을 세우고자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존재하였다.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기장의 근간이 되는 전통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이란 죽은 과거가 아닌 오늘의 삶을 이끌어 가는 역사원리라는 관점에서 이념, 인맥, 지연 등을 찾아본다면 다음 몇 가지 역사적 사건이 발견된다.

먼저 1910년대의 북간도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기독교민족운동의 사례가 있다. 기장과의 관련성은 카나다선교부, 인맥, 사상 등 여러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다음으로 1920년대에는 한국에 진출한 여러 선교부 중 기장의 동역자가 되는 카나다 선교부와의 관련성을 찾고자 한다. 카나다 선교사들의 활동과 영향 등이 검토될 것이다.

1930년대 사건으로는 경성에서 전개되었던 적극신앙단 운동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운동은 서북 교권에 도전한 경충기독교세력이 일으킨 것인데 반 선교사적 자주적 교회운동성격도 나타나고 이 운동을 주도했던 인물들은 기장 건설에 참여한다. 적극신앙단 사건은 기장과 예장이 분열되는 역사적 배경이 된다.

1940년대에 가장 큰 교회사적 사건은 조선신학교의 설립이다. 장공은 이 사건을 한국교회사에 한 획을 긋는 전환점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한국교회가 선교사 주도시기에서 본토민 교회시대가 열린 시점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이 첫 항목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제들이다.

둘째 항목은 1945년에서 1955년에 이르는 해방 10년사의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기장출범의 내용들이다.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사건들이다.

1. 남북대회의 의의
2. 한국교회 자주권 획득을 위한 투쟁
3. 1947년 「진정서」 사건에서 발생한 조선신학교의 교육문제에 대한 교권의 횡포에 맞선 호헌운동이다.
4. 해방을 맞이하여 장공은 어떤 국가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였는가?
5. 해방정국에는 이승만을 지지한 기독교세력만 있었던 것이 아니고 그와는 전혀 성격을 달리하는 기독교 민족사회운동을 전개하는 세력이 존재하였다. 「기독교신민회」, 「기독교흥국형제단」, 「조선농민복음학교」, 「그리스도연맹」 등 단체를 조직했던 기독교민족사회운동세력이다. 이들은 모두가 기장의 뿌리가 된다.

크게 세 번째 항목은, 기장의 맥 속에 관통하는 중요이념을 살피고자 한다. 그것은 1. 민족주의, 2. 선교부와의 관계, 3. 신학에서의 학문의 자유, 역사참여에서의 신앙양심의 자유, 4. 자주적 주체적 민족문화건설의 대안

끝으로 장공 김재준과 기장을 논의할 때 간과해서는 안되는 인물들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1. 만우 송창근과 장공
2. 이남규 목사가 이룩한 호법의 진리운동
3. 남도 토착 기독교영성운동과 기장의 관련성을 이준묵 목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고는 시론일 뿐이며, 동학 선배의 도움을 얻어 그 뿌리를 천착하고 완성된 원고로 함께 병진하고자 한다.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종교지형도